본문 바로가기

삼국유사

낭지승운(朗智乘雲), 보현수(普賢樹), 지통사와 낭지사 이야기, 삼국유사, (어른들이 읽는 삼국유사) - 2/2

반응형

 

<구름을 타던 낭지, 그리고 보현수> - 2/2

 

원효가 찬술을 끝마쳐 문선이란 은사를 시켜 낭지법사에게 책을 받들어 보내면서 그 책의 말미에 다음과 같은 계송을 지어 바치기도 했다.

 

서쪽 골짜기의 사미(반고사는 영취산의 서북쪽에 있기 때문에 서쪽 골짜기의 사미라 했으니 바로 원효 자신을 가리킴)는 머리를 조아려 예 드리옵나니

동쪽 멧부리의 상덕 고암전에

미세한 먼지를 불어 영취산에 보태고(자기가 찬술한 초장관문안신사심론의 불계에 대한 이바지를 겸사투로 말한 것임)

작다란 물방울을 날려 용연에 던지나이다.

 

영취산의 동쪽에 태화강이 있다. 바로 중국 태화지의 용을 위해 복을 비는 절을 그 언저리에 세운 바 있기 때문에 원효의 게송에서 그 강을 가리켜 용연이라고 한 것이다. 지통과 원효는 모두 대성들이다. 두 성인이 경의를 다하여 사사했다면 낭지의 그 도의 경지가 어느 정도로 고매했던 가는 넉넉히 짐작이 갈 만한 일이다.

 

낭지사는 일찍이 구름을 타고 중국의 청량산으로 가서 그곳에 모여든 여러 승려들과 함께 설법을 듣고는 잠깐 사이에 돌아오곤 했다.

 

그곳의 승려들은 낭지를 그 이웃 어느 절에서 온 중이려니 생각했을 뿐, 그가 머물고 있는 곳이 어딘지는 확실하게 모르고 있었다.

 

반응형

 

하루는 청량산의 주승이 대중(대중은 마하승가의 훈역으로 많은 승려를 말함)들에게 명하기를 그 절에 상주하는 자를 제외한 다른 절에서 온 중들은 각자 자기가 거주하고 있는 곳에 나는 이름난 꽃이며 진기한 초목들을 가져와 도장에 바치라고 했다. 낭지는 그 이튿날 영취산 속에 나는 진기한 나무 한 가지를 꺾어다 바쳤다. 낭지가 바친 나무를 보고 나서 그 주승은 말했다.

 

이 나무는 범어로는 달제가라 부르고 이곳의 말로 번역하면 이라고 하는 것으로 오직 서축과 해동의 두 영취산에만 있는 것이다. 그 두 산은 모두 제십법운지보살(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위 중에서 제41위로부터 제50위에 해당되는 10지의 제10위가 바로 법운지임. 수혹을 끊고 끝없이 공덕을 구비하고서 사람에 대하여 이익 되는 일을 행하여 대자운이 되는 지위란 말. ‘제십법운지보살은 바로 이 법운지의 계 위에 있는 보살을 말함. 이 계 위에 있는 보살은 색계의 정상에 있는 천신인 마혜수라 천왕이 되어 불법을 수호, 중생을 제도한다는 것임)이 살던 곳이니 이 분은 필시 성자이겠구나.”

 

드디어 낭지의 행색을 살펴보고 그가 해동의 영취산에 머물고 있음을 알았다. 이로 해서 그곳 중들이 낭지를 보는 눈은 달라졌고 낭지의 명성은 중외에 드러났다.

 

그리고 신라 본국의 사람들은 낭지의 그 암자를 혁목암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지금의 혁목사의 북쪽 멧부리에 옛터가 있는데 그것이 마로 낭지가 머물렀던 혁목암의 유허다.

 

영취사기에 의하면, 낭지가 일찍이 그 암자의 터는 바로 가섭불(현겁의 제3, 석가모니불은 제4불임)때의 절터였다고 한 적이 있고, 또 등항 두 개를 그곳에서 발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원성왕대의 연회란 대덕이 그 산에 내주하여 낭지법사의 전기를 써서 세상에 나돌게 되었다.

 

<<화엄경>> 제십명법운지를 살펴보아 낭지사가 구름을 탄 것은 대개 불타가 삼지를 굽히고, 원효가 백신으로 나눈 것과 같은 유라고 하겠다.

그를 찬한다.

 

생각하노니,

바위 사이에 감추어 백세간,

높은 명성이 아직 인세에 미치지 않았는데

산새가 한가로워 소문을 퍼뜨려 댐 막지를 못해,

구름을 타고 오가는 것 누설되었네.

 

- 끝 -

 

<<삼국유사>> 제5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