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유사

월명사(月明師), 도솔가, 제망매가, 삼국유사, (어른들이 읽는 삼국유사)

반응형

 

 

<월명사의 도솔가와 제망매가>

 

경덕왕 즉위 19(760)4월 초하룻날 두 개의 태양이 나란히 나타나 열흘 동안이나 없어지지 않았다. 일관이 진언하기를 인연 있는 승려가 산화공덕(꽃을 뿌려 부처님께 공양, 공덕을 닦는 것)을 하면 그 재앙이 물러나리라고 했다.

 

이에 왕은 조원전에다 정결히 단을 설치해 두고 청야루에 나가 인연 있는 중을 기다렸다. 그때 월명사란 이가 들 남쪽 길을 가고 있었다. 왕은 사람을 시켜 불러 오게 했다. 그리고 단을 열고 기도문을 짓도록 명했다. 월명사는 왕의 명을 사양하여 말했다.

 

승은 단지 국선의 무리에 속해 있으므로 그저 향가나 알 뿐 범음(불교의 찬송가 격긴 범패를 가리킴)에는 익숙지 못하나이다.”

 

왕은,

그대가 이미 인연 있는 승려로 지적되었으니 비록 향가를 쓰더라도 좋다.”

고 말했다.

월명사는 마침내 <<도솔가>>를 지어 읊었다.

 

오늘 이에 산화가를 불러 뿌리 온 꽃아,

너는,

곧은 마음의 명을 부리옵기에,

미륵좌주를 모셔라!

 

<<도솔가>>를 풀이하면 이렇다.

 

용루에서 오늘 산화가를 불러,

청운에게 한 조각 꽃을 날려 보내노니,

정중한 진심의 부리는 바 되어,

멀리 도솔천의 대선가(‘도솔천의 대선가란 역시 미륵을 가리킴 미륵은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그 하늘에서 천인들을 교화하고 있다고 함)를 맞이하라.

 

지금 세속에 이것을 가리켜 산화가라고 하나 잘못이다. 의당히 도솔가라고 해야 할 것이다. 산화가는 따로 있으나 글을 여기 싣지 않는다.

 

반응형

 

<<도솔가>>를 지어 부른 조금 뒤 태양의 변괴가 곧 사라졌다. 왕은 월명사를 가상하여 좋은 차 한 봉지와 수정염주 108개를 하사했다. 그런데 홀연히 외양이 깨끗한 한 동자가 차와 염주를 받들고 궁전의 서쪽 소문에서 나왔다. 그 동자를 두고 월명은 내궁의 사환이라 하고, 왕은 월명사의 종자라고 했다. 그러나 현묘한 표징이 나타나고 보자 그 동자는 내궁의 사환도 아니요 월명사의 종자도 아니었다. 왕은 매우 이상스러워 사람을 시켜 그 동자를 추적해 보게 했더니 동자는 내원의 탑 속으로 사라지고 그 차와 염주는 내원 남쪽 벽에 그린 미륵상 앞에 놓여 있었다. 마침내 월명의 지극한 덕과 정성이 능히 지성(‘을 일컬음)에게 감동되었음이 이 같음을 알아 조야에 두루 그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되었다. 왕은 더욱 월명사를 존경하고 다시 비단 백 필을 선사하여 정성을 표했다.

 

월명은 또 일찍이 그의 죽은 누이를 위해 재를 올릴 때 향가를 지어 제사지낸 적이 있었다. 그때 돌연히 광풍이 일어 지전(종이로 모양을 만든 것. 옛날에는 신주 대신 지전을 만들어 붙이고 제사지냈다고 함)을 날려 서쪽을 향해 사라져 갔다. 다음이 그 노래(‘제망매가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음)이다.

 

생사의 길이 예 있으니 두려움 속에서

나는 걷는다. 말도 못 다 이르고 가야 하는가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나뭇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서도 가는 곳 모르온저!

아으, 미타찰(‘아미타불의 국토란 뜻이니 곧 극락세계를 말함)에 만날 나는 도 닦아 기다리련다!

 

월명은 늘 사천왕사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는 피리를 잘 불었다. 한번은 달밤에 그 절 대문 앞의 한길을 거닐며 피리를 불었더니 달이 그 운행을 멈춘 적이 있었다.

 

그래서 그 길을 월명리라 불렀다. 월명사 역시 이로써 저명해졌다. 월명사는 바로 능준대사의 문인이다.

 

신라 사람 가운데 향가를 숭상하는 이가 많았으니 향가란 대개 <<시경>>의 송과 같은 종류의 것이다. 때문에 가끔가다 능히 천지 귀신을 감동시킨 경우가 한둘이 아니었다.

그를 찬한다.

 

바람은 지전을 날려 저 세상 가는 누이의 노자 되게 했고,

피리 소린 밝은 달 움직여 항아(월궁에 있다는 선녀)를 머물게 했구나.

도솔천이 멀다고 그 누가 말하더냐,

만덕화 한 곡조로 쉬이 맞았네.

 

- 끝 -

 

<<삼국유사>> 제5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