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지승운(朗智乘雲), 보현수(普賢樹), 지통사와 낭지사 이야기, 삼국유사, (어른들이 읽는 삼국유사) - 1/2
- 1/2 삽량주 아곡현(삽량은 지금의 양주요, 아곡의 ‘곡’은 한편 서‘자로 쓰이기도 했고, 또는 ’구불‘, ’굴불‘이라고도 했음. 지금 울주에 굴불역이 있으니 아직도 그 이름이 쓰이고 있음. 삽량, 즉 양주는 지금의 경상남도 양산임)에 있는 영취산에는 한 신통한 승려가 살고 있었다. 그 승려가 암자를 짓고 그 산에서 살아온 지가 여러 해였으나 고을에선 아무도 아는 이가 없었다. 그 스님 또한 자신의 성명을 말하지 않았다. 항상 법화경>>을 강하고 있어 신통력이 있었다. 당 고종 12, 즉 문무왕 즉위 (661)년에 지통이란 사미가 있었는데 그는 본래 이량공의 집 종이었다. 승려가 되던 해 그의 나이 일곱 살, 그때에 한 까마귀가 그에게로 날아와 이렇게 짖었다. “영취산으로 가서 낭지의 제자가 되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