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유사

원광서학(圓光西學), 원광법사에 관한 두 가지 이야기, (어른들이 읽는 삼국유사) - 1/5

반응형

 

<원광, 중국에 유학가다> - 1/5

 

<당속고증전> 13권의 기록이다.

신라 황룡사(‘황룡사의 와전된 기사)의 원광은 속성이 박씨, 본거지는 삼한, 즉 변한, 진한, 마한이다. 원광은 바로 진한 사람인 것이다. 대대로 해동에 살아 가문의 유서가 연면하고 그 사람은 도량이 크며 문장을 좋아했다. 도가와 유학을 섭렵했고 제자서와 사기를 토구했다. 문장의 재화가 한역에 울렸으나 학식의 풍부함에 있어선 오히려 중국에 부끄러웠으므로 마침내 그는 친척과 벗들을 작별하고 뜻을 해외로 분발했다. 25세에 배를 타고 금릉(지금의 남경)으로 갔다. 때는 바로 진나라 시대, 진나라는 문교의 나라로 일컬어졌으므로 원광은 전날에 쌓여온 의문들을 질문, 구명할 수 있었으며 도를 물어 요해할 수 있었다.

 

처음 원광은 장엄사의 승민의 제자에게 강론을 들었다. 원광은 본래 세전(불경 이외의 세간의 전적들을 가리킴)에 익숙하여 이치 궁구에 신통하다 일컬어졌으나, 불도를 듣고 보니 그 자신 도리어 한갓 씩은 진개와 같이 여겨졌다. 그는 헛되이 명분의 교(유교를 일컬음)를 탐구하다가는 실로 생애가 우려스럽겠다고 생각하고 진나라 임금에게 글을 올려 불도에 귀의할 것을 청했더니 허락이 내렸다. 비로소 그는 삭발을 하고, 그리고 곧장 구족계(일명 대계, 비구니라고도 한다. 이것은 비구, 비구니가 받아 지킬 계법으로 비구는 250, 비구니는 348계이다. 이 계를 받으려는 이는 젊은이로서 일을 감당할 만하고 몸이 튼튼하여 병이 없으며 죄과가 없고, 이미 사미계를 받은 이에 한함)를 받았다. 두루 강석을 찾아다니며 좋은 도리를 체득하고 미묘한 말을 해독해 가기에 잠시도 게으르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는 성실론과 열반경을 득통하여 심부에 온장해 넣었고 경, , 논들의 석론을 두루 헤쳐 탐구했다.

 

끝으로 또 오지의 호구산에 들어가 염정(‘은 정념, ‘은 정정이다. 정념이란 참된 지혜로 정도를 생각하여 사념이 없는 것, 정정이란 참된 지례로써 산란하고 흔들리는 생각을 여의고 몸과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진공의 이치를 관하여 가만히 있고 마음을 이동치 아니함)이 끊이지 않고 각관(총체적으로 사고함을 ’, 분석적으로 상세히 관찰함을 이라 함)을 잊지 않으매 마음의 안식을 찾는 무리들이 임천으로 구름처럼 모여들었다. 아울러 4(‘사아함경을 말함)을 섭렵하고 8(색계의 사선정과 무색계의 사공정을 말함. 이것들은 선정의 진경도를 가름한 것임)에 공력을 기울임으로 하여 명선의 실행은 용이하게 되고 지난날 먹었던 마음에 깊이 도달되었다. 그는 드디어 종언에의 길을 닦을 생각으로 인사를 일체 끊고 성적을 노닐며 상념을 푸른 하늘로 모으고 속세의 일상들을 멀리 사절하고 있었다.

 

반응형

 

그때 한 신사가 그 호구산의 아래에 살고 있어 원광에게 출강을 요청했다. 원광은 굳이 사양하고 허락하지 않았으나, 그 신사 또한 굳이 맞아들이려 하기에 드디어 그의 은청을 받아들였다. 처음에는 성실론을, 그리고 끝으로 반야경을 강했다. 어느 것에 대해서나 그 사유와 해석이 뛰어나고 철저했으며 좋은 물음들은 거침없이 해답해 주었다. 게다가 또 아름다운 수사로 강의를 엮어 내리매 듣는 이들은 모두 흔흔히 마음에 흡족해 했다. 이로부터 원광은 은거를 작정하기 이전의 옛 태도대로 좇아 교화를 열어 소임을 성수해 갔다. 그는 법륜(법륜은 교법을 말함. ‘법륜을 움직인다는 것은 곧 설법함을 의미함)을 한번 움직일 때마다 문득 강이며 호수를 기울여 붓듯 장광설이고는 했다. 비롯하여 이역 땅에서의 전교이나 그는 흠뻑 도에 멱감아 꺼려하거나 피차의 간극을 두는 일이라곤 전혀 없었다. 그리하여 그의 명망은 넘쳐나 온 영남(중국 오령 이남의 지방을 말함)에 퍼졌고, 수풀을 헤지고 바랑을 지고 그에게로 찾아오는 구도자들이 고기 비늘처럼 잇달았다.

 

그때 마침 수나라가 천하를 통일하기에 이르러 그 위세 떨침이 남국(원광법사가 유학하고 있었던 그 진나라를 가리킴)에 미쳐왔다. 진나라의 국운이 다하여 수나라 군사들이 진나라의 서울에 들어가자 원광은 난병을 만나 살해를 당하게 되었다. 수군의 대장이 사탑이 불타오르는 광경을 바라보고는 불을 끄려고 달려갔으나 불길이라곤 전혀 없고 탑 앞에는 단지 원광이 포방당해 곧 죽임을 당하게 되어 있을 뿐이었다. 수군의 대장은 이적이 신기하여 즉시 원광을 풀어 방면해 주었다. 그의 위기에 임해서의 영이한 감통이 이와 같았다.

 

원광은 그의 불학이 오월(남중국을 일컬음)에 통했기에 문득 주진(북중국을 일컬음)의 교풍을 보고자 수나라 문제 9(589)년에 수도(수나라의 도읍을 가리키며, 도읍은 장안임)로 와서 노닐었다. 마침 불법이 처음 모이고 섭론종(중국 13종의 하나로 인도의 무착이 지은 섭대승론을 근본으로 한 종파)이 비로소 흥기하는 때를 만나 원광은 문언을 만들어 현미한 단서들을 개발해 내기에 또 총혜를 구하여서 명성이 서울에 드날렸다.

 

- 다음 화에 계속 -

 

<<삼국유사>> 제4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