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 약밥의 유래>
신라 제21대 임금 비처왕 즉위 10(488)년 어느 날, 왕은 천천정에 거둥했다. 그때, 까마귀와 주가 나타나 울어 대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지껄였다.
“이 까마귀가 날아가는 곳을 찾아가 보세요.”(일설에는 53대 신덕왕이 흥륜사에 행향하러 가다가 길에서 여러 마리 쥐들이 꼬리를 물고 있는 것을 보고 괴상히 여겨 돌아와 점을 치니 ‘내일 맨 먼저 우는 새를 찾아라.’고 했다. 그러나 이 얘기는 그릇된 것이다. 행향이란 재를 베푸는 사람이 자신이 도장 안을 천천히 돌며 향로에 향을 사르는 불교 의식이다.)
왕은 기사를 시켜 까마귀가 날아가는 곳을 따라가 보게 했다. 남쪽으로 피촌(지금의 ‘양피사촌’이므로 남산 동쪽 기슭에 있음)에 이르자 멧돼지 두 마리가 한창 싸움판을 벌이고 있었다. 기사는 그 돼지 싸움에 정신이 팔려 한참을 구경하다 그만 까마귀의 행방을 깜박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 근처의 길옆을 배회하고 있노라니까 한 노인이 못 속에서 나타나 편지 한통을 바쳐 왔다. 그 편지의 겉봉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
‘이 편지를 열어 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열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
기사는 편지를 가져와 왕에게 바쳤다. 겉봉에 쓰인 사연을 읽어 보고 왕은 말했다.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다 열어 보지 않음으로써 한 사람만 죽게 하는 편이 낫겠구나.”
곁에 지키고 섰던 일관이 아뢰었다.
“두 사람이란 보통 사람을 가리키고, 한 사람이란 바로 왕을 가리킵니다.”
비처왕은 일관의 말대로일 듯 여겨져 편지를 열어 보았다.
“거문고 갑을 쏘아라.”
라는 단 한 마디의 사연일 뿐이었다.
왕은 곧 궁궐로 들어가 거문고 갑을 향해 활을 쏘았다. 그 안에서는 내전에서 분수(범향수도의 뜻으로 온갖 불사를 맡아 행함을 말함)하는 중이 궁주와 몰래 간통하고 있었던 것이다. 두 사람은 죽음을 당했다.
그때부터 우리나라 풍속에 매년 정월달의 첫 해일, 첫 자일, 첫 오일에는 백사를 삼가 함부로 동하지 않고, 정월 보름날을 ‘오기일(직역하면 ’까마귀를 꺼리는 날‘임)이라 하여 찰밥으로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등의 풍속이 생겨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다. 이런 풍속들을 속언으로 ’달도‘라 하고 있는데, 그것은 슬프고 근심스런 마음이 들어 백사에 금기한다는 뜻일 것이다.
편지가 나온 그 못은 ‘서출지’라 명명했다.
<<삼국유사>> 제1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