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등등

입하 立夏 입하란? 입하의 뜻 입하 때 하는 일 입하의 의의 일곱 번째 절기 이십사절기 중에 하나 24절기

반응형

1. 입하의 뜻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양력으로 56일 무렵이고 음력으로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의 황경(黃經)45도에 이르렀을 때이다.

입하(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어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하며, ‘초여름이란 뜻으로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고도 부른다.

경향신문 1957년 5월 5일 기사 (사진출처-한국민속대백과사전)

2. 입하 때 했던 일

이때가 되면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또 마당에는 지렁이들이 꿈틀거리고,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한다.

그리고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밭의 보리 이삭들이 패기 시작한다.

집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한창이고, 논밭에는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가 자라서 풀 뽑기에 부산해진다.

반응형

3. ‘입하’가 들어가는 속담

옛날 재래종 벼로 이모작을 하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한창 못자리를 하므로 바람이 불면 씨나락이 몰리게 되는데, 이때 못자리 물을 빼서 피해를 방지하라는 뜻으로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라는 말이 있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 든다는 뜻으로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 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라는 말도 있다.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작되므로 농가에서는 들로 써레를 싣고 나온다는 뜻으로 입하 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라는 말도 있다.

재래종을 심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물을 잡으면, 근 한 달 동안을 가두어 두기 때문에 비료분의 손실이 커 농사가 잘 안 된다는 뜻으로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 된다.”라는 말도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