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등등

청와대 관람시간 대통령이 살고 있는 집 대통령의 집무실 푸른 기와 관람 시간 개방 역사 영빈관 주소 서울 종로구 세종로 1번지

반응형

1. 청와대란?
서울 종로구 세종로 1번지에 위치한
대통령의 집무 및 생활공간이다.
대통령의 집무실·접견실·회의실 등이 있는
본관, 영빈관, 대통령관저, 수궁터, 상춘재,
녹지원, 대통령비서실, 춘추관,
무궁화동산, 효자동사랑방,
칠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와대

2. 청와대의 역사
본관은 2층 화강암 석조에 청기와[靑瓦]를
덮어 ‘청와대’란 명칭은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이 곳은 일찍이 고려시대에
남경(南京)으로서의 별궁(別宮)이
있던 터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426년(세종 8)
경복궁(景福宮)을 창건하면서
궁궐 후원으로 삼아 이 곳에
연무장(鍊武場), 융무당(隆武堂),
경농재(慶農齋) 및 과거장(科擧場)이
마련되었으며, 왕의 친경지(親耕地)로도
사용되었다.
그 후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안에
청사(廳舍)를 신축하면서 1927년
오운각(五雲閣) 외의 모든 건물과 시설을
철거하고 총독관저를 이 곳에 지었다.
청와대 본관은 바로 이 때 건축한 것이다.
1945년 8·15광복과 더불어 미군정이
시작되자 이 곳은 그대로 군정(軍政)장관의
관저로 사용되었으며,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면서 ‘경무대(景武臺)’라고 불렀다.
그 후 1960년 4월 4·19혁명 후
민주당정권이 들어서면서 대통령
윤보선(尹潽善)이 경무대의 주인이 되자
곧 ‘청와대’로 개칭하였고,
1990년 프레스센터인 춘추관과
대통령 관저가 신축되었다.
1993년 8월 대통령 김영삼(金泳三)의
지시로 일제강점기의 조선총독이
기거하였던 구관은 철거되었다.

반응형

3. 본관
본관은 대통령이 일하는 곳과 손님을
접대하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청와대’ 하면 떠오르는 푸른 지붕의
집이 바로 본관이다.
청와대는 우리나라 건축 양식 중의 하나인
팔작 지붕으로 아름답게 지어졌고,
푸른 기와로 지붕이 덮여 있다.
팔작 지붕은 위쪽 절반은 세모 모양으로,
아래쪽 절반은 네모 모양으로 만든
지붕이다.
한옥의 지붕 모양 중에서
아주 아름다운 모양으로 꼽힌다고 한다.

4. 춘추관
춘추관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때
정치나 행정의 기록을 맡았던 기관의
이름이다.
지금은 대통령이 기자 회견을 여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1층에는 기자들이 사용하는 기자실과
자료실이 있고, 2층에는 대통령이
기자 회견을 하는 방이 있다.

5. 영빈관
큰 연회를 열거나 외국의 중요한 손님들을
위한 공식 행사를 치르는 곳이다.
1층은 만남의 장소와 공연이 열리는
공간이다.
2층에서는 식사 대접과 행사가
치러지는 곳이다.

영빈관

6. 녹지원
역대 대통령들의 기념 식수가 있는
야외 행사장이다.
경복궁 뒤뜰이었던 곳으로 청와대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소이다.
여러 종의 나무들과 예쁜 잔디가 심어져
공원처럼 산책하기 좋다.

7. 청와대 관람
청와대는 매주 화요일~금요일
(둘째 주, 넷째 주 토요일),
정해진 시간에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반응형